네번째 삽질> WD My Cloud에 miniDLNA 설치 (v04.04.01-112)
거의 모든 세팅이 끝났다 생각했을 때 떠오른 빔프로젝터.
내 빔프로젝터는 5년전에 구입한 LG 미니빔 HW300TN. 무선랜 동글을 이용한 DLNA를 지원한다.
예전에 몇 번 사용을 해봤었는데 스트리밍 도중 접속이 끊기는 경우가 자주 발생했었고
자막 지원도 시원치 않아서 항상 HDMI 케이블 연결이나 USB연결로 영화를 보곤 했었다.
그래 생각난김에 한 번 해보자.. 싶어서
켜봤는데 어.. 무선랜만 설정해주니 My Cloud가 바로 잡힌다.
오!! 플레이도 잘된다?? 싶더니 자막이 안나온다.
그럼 그렇지..
다시 검색 검색
여기서 알게된 몇가지.
- 우성군님의 강좌에서 miniDLNA라는 녀석을 알게 되었다.
- 우성군님 강좌의 miniDLNA 설치법은 My Cloud 펌웨어 V3 버전대만 해당된다. ㅠㅠ 내 펌웨어는 최신버전인 (v04.04.01-112)
- WD My Cloud에는 기본적으로 Twonky라는 미디어서버가 설치되어 있다.
- Twonky는 최신버전에는 smi 지원을 하긴 하지만 완벽하진 않다.
- miniDLNA 최신 버전에는 smi 지원이 잘된다.
그럼 miniDLNA 최신 버전을 설치하면 되는건가??!!!
자 다시 삽질 시작.
이 방법의 특이한점은 작성자의 사이트에서 인증(?)같은걸 먼저 받아야 한단다.
그것도 매 시간마다 새로;
인스톨 파일이 작성자의 NAS에 올려져 있는듯 한데 네트워크 자원 남용 방지때문이라나..뭐라나
시작해보자.
※ 무식해서 용감한거라 했던가.. 난 사전지식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그냥 벽돌이 되든 말든 무대포로 진행을 했다.
정말 신중히 생각해보고 적용하시길..
1. https://teanazar.com/wdmycloud 링크 접속
2. 페이지 중간에 요놈을 찾아서 왼쪽에 보이는 까만 문자를 입력 후 ENTER CAPTCHA 버튼 선택 (※ 대소문자 구분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47B6E41568925F836)
3. 제대로 입력했다면 다음 화면이 나오는데 빨간 박스 안의 내용을 카피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7204134568926C020)
4. SSH 접속 후 위에서 카피한 내용 붙여넣기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2DA534568927E419)
5. https://community.wd.com/t/app-minidlna-original-patched-for-firmware-v4-10-2015/94354 링크 내용 중 원하는 버전의 코드를 카피 후 입력
(기왕이면 최신버전이 좋겠다 싶어서 Patched Version 1.1.5.patched-1: 선택 - curl teanazar.com/installer.fcgi?minidlna_1.1.5.patched-1|sh; 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6081B385689312723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456C53556892A5602)
6. 주의해야할 내용(하다가 벽돌되면 그건 니책임 등등)들에 대한 설명과 두번의 동의 절차가 있는데 N를 입력하거나 일정 시간동안 입력을 안하면 취소된다.
난 벽돌을 각오한 상남자이기 때문에 무조건 고고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65F823E56892B9001)
7. 동의를 완료하면 파일 다운로드를 시작한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73D944156892BE210)
8.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인스톨 시작. 중간에 빨간 문구가 무섭다.. 멈추면 벽돌된다!!!
WARNING! Attempts to abort this process may brick your device! (이때부터 심장이 벌렁벌렁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410824456892C2928)
9. 설치가 완료되면 미디어 라이브러리 Path를 묻는데 이건 잠시후 설정 할 수 있으니 그냥 엔터키 눌러서 스킵하자.
우성군님 포스트 6번을 따라하면 설정 할 수 있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1672C3E56892D2605)
10. 드이어 감격의 설치 완료!!!!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71EE84256892D690C)
11. 브라우저에서 http://마이클라우드 접속주소:8200 로 접속해서 아래의 화면이 나오면 나이스 굿!!!!!!!!!!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17DC64856892E1E14)
12. 이제 우성군님의 miniDLNA 설치 포스트(http://www.wsgvet.com/bbs/board.php?bo_table=iomega&wr_id=690&sca=WD+MC&page=2)
6번을 따라한다.
(5. SMI 자막 지원하는 minidlna로 교체하기는 적용하지 않고 인코딩 설정만 따로 잡아주었는데 아직 모든 자막이 잘 나오고있다!!
인코딩 설정은 다음 포스트에서)
※ 참고로 우성군님 포스트의 6번 적용 후 위의 miniDLNA 페이지에 가보면 Media scan in progress라고 표시가 뜰 수 있는데
이건 아직 미디어 라이브러리 색인이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이다. 그냥 기다리면 끝난다. 그전에 DLNA 에 접속해보면 폴더나 파일 표시가 안될 수 있음.
※ 이 대장정의 끝을 볼 수 있게 해주신 우성군님 감사드립니다.. 우성군님의 블로그가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.